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82

한국콜마 2025년 미국 시장 성장이 핵심이다

4Q24 Preview: 컨센서스 하회 예상20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 5,905억원(+7% YoY), 영업이익 480억원(+28% YoY)으로영업이익 시장기대치 525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국내와 미국 법인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법인은 매출 약 2,400억 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9% 수준의 안정적 성과를 유지할 전망이다. 특히 인디 브랜드의 수출 증가와 썬케어 비중 축소에도 효율적인 운영이 실적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미국 법인은 신규 브랜드 매출 기여와 오프라인 시장 확장을 통해 4분기 매출 190억 원, 영업이익 1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7% 성장한 수치로, 글로벌시장에서 한국콜마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

경제/주식A 2025.01.08

코스메카코리아 2025년 성장 동력: 글로벌 수주와 신제품

4Q24 Preview: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소폭 하회 전망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330억원(+8% YoY), 영업이익 174억원(+16% YoY)으로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190억원을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한국: 글로벌 고객사와 K-인디 브랜드 수요 증가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 연말시즌 특수와 신제품 출시 효과로 매출이 전년 대비 +19% 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기초 및더마, 쿠션 제품군의 대량 수주가 매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품 믹스 변화와공장 운영 안정화는 가동률과 영업이익률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미국: 잉글우드랩 코리아는 주요 고객사의 용기 사급 비즈니스 전환으로 4분기 역시 전년대비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지만, 영업이익은 3분기 대비 4분기는 점진적..

경제/주식A 2025.01.08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섹터의 턴어라운드는 아모레로부터

4Q24 Preview: 영업이익 컨센서스 부합 예상20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 300억원(+11% YoY), 영업이익 800억원(+286%YoY)으로 영업이익 시장기대치 822억원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BUY (M)국내: 이커머스와 멀티 브랜드 숍(MBS)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가 이어질전망이다. 방판 매출이 전년 대비 10% 감소하더라도, 이커머스(10% 이상 성장)와MBS(20% 성장)의 두 자릿수 성장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 두 채널의 높은 수익성은채널 믹스 개선을 통해 전사 이익률 상승과 국내 사업 안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해외: 북미에서는 라네즈와 이니스프리가 세포라를 기반으로 전년 대비 102%성장(코스알엑스 포함)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라네즈와 프리메라..

경제/주식A 2025.01.08

에스켐 탐방노트: OLED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파동

회사개요]에스켐은 2014년 설립, 2024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OLED 유기 소재합성 전문 회사로 주요 소재사들을 고객사로 두고, 소재사들이 연구개발한 제품을 양산하는 OLED 소재의 '파운드리' 역할을 수행. 주요 사업은 OLED 소재의합성 완제품 및 중간체 제조와 OLED 친환경 정제 사업. 그 외 헬스케어(진단시약 생산 공급 및 의약품 중간체 생산) 및 2차전지(전해액 첨가제) 관련 신사업을 확대 중. 2023년 매출액 기준 매출 비중은 OLED 소재 합성 제품 70.6%,친환경 정제 사업 26.9%, 신사업(헬스케어+2차전지) 2.5%[투자포인트]1) 친환경 정제 사업의 성장성기존 OLED 소재는 증착 과정에서 80% 이상은 유리기판 아닌 마스크 등 다른곳에 증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경제/주식A 2025.01.08

삼성전자 혹독했던 24년 겨울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78,000원으로 하향(-8%)목표주가는 25년 BPS에 Target P/E 1.3배를 적용, 25년 실적 추정치 조정에따른 목표주가 하향. 24년과 25년 영업이익은 각각 33.7조원, 35.0조원으로하향함. 견조한 HBM/서버향 메모리 수요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HBM 양산 일정이 기대보다 지연되었으며, B2C(스마트폰, PC) 수요 둔화 및 레거시 메모리공급 과잉에 따른 반도체 가격 하락이 나타났기 때문다만 현재 주가는 PBR 0.9배 수준으로 여전히 밸류에이션은 낮은 수준이며,1H25 메모리 반도체 재고 조정 이후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와 자사주 매입진행에 따라 추가적인 하락은 제한적으로 판단함실적 회복 시점은 2H25로 지연4Q24 매출액 76.6조원(QoQ -3..

경제/주식A 2025.01.08

SK하이닉스 증명할 경기 방어력

4Q24 영업이익 8.1 조원 (+15% QoQ)의 호실적 예상SK하이닉스의 4Q24 연결 영업이익은 8.1조원 (+15% QoQ, 이하 QoQ)의 호실적을 기록하며, Commodity 가격 하락 지속에도 불구하고, HBM 등 고부가 제품 중심의믹스 제고에 따른 경기 방어력을 증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트 수요 부진으로 NAND는 B/G +7%, ASP -5%, 믹스 제고의 핵심인 HBM 출하 확대로 DRAM 은 B/G+7%, ASP +9%의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DRAM 내 HBM 매출액 비중은40% (+10%p)를 기록할 전망이다.1Q25 감익 후 2Q25 재차 증익 구간 진입 전망SK 하이닉스의 1Q25 영업이익은 6.4 조원 (-20% QoQ)의 단기 감익 구간을 거친후 2Q25 부터 재..

경제/주식A 2025.01.07

SPC삼립 푸드 부문 기저효과

4Q24 양호한 실적 전망작년 4분기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8,688억원(-0.9% yoy), 310억원(+12.6% yoy)으로 컨센서스(9,088억원 / 316억원)에 대체로 부합할 전망이다. 베이커리와 유통 부문의 부진이 이어지겠지만 푸드 부문 기저효과로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푸드 부문이 전사 이익 성장 견인할 듯부문별로, 베이커리 매출은 2,560억원(+1.1% yoy), 영업이익은 212억원(-4.4% yoy)으로 전망된다. 소비 심리 위축 영향으로 외형 성장 기대감이 제한적이다. 샌드위치와 햄버거번 판매는 양호하나 양산빵과 호빵 판매량은 전년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또 원부자재 가격 부담도 이어진 것으로 파악된다.푸드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820억원(-4.1..

경제/주식A 2025.01.07

에이치시티 2025년에도 성장흐름 지속

시험인증 기관의 안정적인 성장 흐름동사의 매출액은 2013년~2023년 CAGR 10.6%의 성장 흐름을 보였고, 2024년E+25.3% yoy, 그리고 2025년에도 +10~20% 수준의 YoY 성장이 기대된다. 이는 동사의 본업인 시험인증 사업의 구조적인 성장 흐름[사업의 특성상 IT 기술이 발전하고이종간의 기술 융합 제품이 확대되면서 시험인증 항목(Q↑)과 시간이 증가(ASP↑)]이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4Q24에도 Sales 247억원(+25.1% yoy), OP 23억원(+12.2% yoy) 수준으로 분기 최대 매출액을 기대하는데, 이는 1)정보통신 부문에서 전방 고객사의 플래그쉽 해외 인증 모델 확대 → 인증 모델 다각화, 2)차량용 부문에서 고전압 부품 증가 → 차량 부품인증 확대, 3)교정..

경제/주식A 2025.01.07

크래프톤 높은 트래픽과 잘 갖춘 BM

 4분기 매출액 6,753억원(+26%yoy), 영업이익 2,658억원(+62%yoy) 컨센서스(2,593억원) 소폭 상회 전망 4분기에도 높은 트래픽(10월 77만명, 11월 80만명, 12월 80만명)을 유지한 PC배그는 11월 블랙마켓 성장형 무기스킨 판매 효과로 높은 매출 성장률을 이어나갈 전망. 다만 전분기 람보르기니 콜라보 효과에는 미치지 못할 것 모바일 매출은 비수기로 전분기 대비 감소하겠지만 펍지모바일, BGMI, 화평정영 모두 양호한 매출 순위를 유지하고 있어 yoy 성장세는 이어나갈 것. 올해 3월 예정된 펍지모바일 론도맵 업데이트는 PC와 마찬가지로 좋은 반응이기대됨 영업비용에서는 인력 충원 및 연말 상여금 반영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 말레이시아 PGC 2024 개최로 지급수수..

경제/주식A 2025.01.07

S-Oil 2025년 하반기가 더 기대되는 이유는?

2024년 4분기 예상 영업이익 2,403억원 흑전2024년 4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8.5조원, 영업이익 2,403억원(영업이익률 2.8%), 지배주주순손실 △2,833억원’ 등이다. 영업손익은 전분기 △4,149억원에서 흑자전환 하지만, 원달러급등으로 △5,500억원대 영업외 환손실이 우려된다. 정제마진 개선(전분기 0.4$→2.3$)과 국제유가 횡보(2024년 9월 73.5$→12월 73.3$/배럴)로 정유부문 회복이 클 것이다. 부문별 추정치는 ‘정유부문 1,670억원(재고이익 400억원 반영, 전분기 △5,737억원), 석화부문 △472억원(전분기 50억원), 윤활유 1,205억원(전분기 1,538억원)’ 등이다.2025년 글로벌 증설 감소로 실적 회복 가능타이트한 정유설비 수급상황으로 인해..

경제/주식A 2025.01.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