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주식A

농심 드디어 맞이한 전환점

빛나는 달빛 2025. 1. 20. 00:27
반응형

기대치에 부합할 4분기
2024년 4분기 농심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8,988억원(+4.9% YoY,
+5.7% QoQ), 영업이익은 423억원(+8.5% YoY, +12.4% QoQ)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436억원에 부합할 전망이다. 1) [내수] 지난 2024년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물량이 0.5% 감소했던 한국 라면 시장은 2024
년 4분기 들어 전년 수준, 농심의 시장점유율은 2024년 9월 출시된 신
라면 툼바 신제품 판매 호조 영향으로 57.6%(+0.3%p YoY)로 추정한
다. 매년 말 반영되었던 퇴직급여 충당금은 분기 배분되어 반영되어왔
기 때문에 이번 4분기 반영 금액은 급증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된
다. 2) [미주] 2024년 11월부터 가동되기 시작한 미국 2공장에서 신라
농심홀딩스 (외 6 인) 국민연금공단 (외 1인) 자사주 (외 1 인) 44.3%
11.1%
4.9%
면 툼바 제조, 판매가 시작되었다. 월마트 내 메인 매대로의 이동도
2024년 말 완료되었다. 이에 미주 매출액은 +11.3% YoY로 2023년 2
분기 이후 6개 분기 만에 성장 전환한 것으로 추정한다. 3) [일본, 호주,
주가수익률(%)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베트남] 거래 채널 및 진열 매대 확대로 일본, 호주, 베트남 매출액은
절대수익률 6.8 -3.5 -17.0 -8.4
상대수익률(KOSPI) 2.8 -0.3 -4.7 -7.4
각각 +10.7%, +12.1%, 15.0% YoY 성장한 것으로 추정한다.
농심 KOSPI지수대비
미국 2공장 가동을 기점으로
2024년 기준 농심의 미국 시장점유율은 21.5%다. 팬데믹 이전
21~22%대였던 농심의 미국 시장점유율은 2021~2022년 24~25%까
지 확대되었으나 2023~2024년을 거치며 다시 21%대로 내려앉았다.
농심의 경쟁력이 약화되었다기 보다는 비국물라면을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하는 구간에 관련 제품의 노출도가 적었던 영향이라 해석한다. 농
심은 2024년 11월 미국 2공장 가동을 계기로 신규 SKU 확대를 이어
갈 것으로 예상한다. 그 첫 제품이 신라면 툼바다. 농심이 이미 미국
라면 시장에서 2위 사업자로 자리매김한 만큼 특정한 한개의 신제품이
전체 미국 법인의 실적을 좌우할 수는 없겠지만 방향성 변화의 관점에
서는 유의미한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였다 판단한다. 이미 미국 시장 내
에서 높은 커버리지를 갖고 있는 만큼 경쟁력 있는 신제품이 출시된다
면 신제품 중심의 추가 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겠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00,000원 유지
최근 환율 상승 분을 추정치에 반영하였으나 농심의 경우 USD 관련
영향은 중립에 가깝다. 해외 사업 특히 미국 법인이 전환점을 맞이한
만큼 해외 사업부의 성장이 주가 향방을 좌우할 전망이다

반응형